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엑사원 딥, 한국 첫 오픈AI

by 핫100프로 2025. 3. 19.

 

LG AI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추론 인공지능(AI) 모델인 '엑사원 딥(EXAONE Deep)'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AI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예고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에이전틱(Agentic) AI 시대를 여는 중요한 사례로, '엑사원 딥'은 자율적 의사결정과 추론을 통해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능동적인 AI로 기존의 '지식 AI'를 넘어서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목차

1. LG의 엑사원 딥: 국내 최초의 추론 AI

2. '엑사원 딥'의 다양한 모델 공개

3. 추론 AI의 응용 가능성

4. LG의 향후 계획

5. 결론

 

1. LG의 엑사원 딥: 국내 최초의 추론 AI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을 '에이전틱 AI' 모델로서, 글로벌 추론 AI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모델로 소개했습니다. 이번 오픈소스 공개는 한국이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한 사례로 의미를 갖습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오픈AI, 구글, 딥시크, 알리바바와 같은 소수의 기업만이 자체 추론 AI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

 

2. '엑사원 딥'의 다양한 모델 공개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32B'(320억개 매개변수) 외에도 경량 모델인 '엑사원 딥-7.8B'와 온디바이스 모델 '엑사원 딥-2.4B'를 오픈소스로 공개했습니다. 이 모델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며, 특히 수학, 과학, 코딩 등 전문 분야에서 뛰어난 문제 해결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 엑사원 딥-32B는 미국과 중국의 추론 AI 모델들과 비교해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며, 한국어에 강점을 가진 엑사원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2025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에서 94.5점을 기록했습니다.
  • 엑사원 딥-7.8B는 32B 모델의 24% 크기에도 성능을 95%까지 유지하며, OpenAI의 o1-mini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습니다.
  • 엑사원 딥-2.4B는 온디바이스 모델로, 외부 서버와의 연결 없이 기기 내부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어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집니다.

 

딥시크에 대해 우위를 보이고 있는 '엑사원 딥'

 

3. 추론 AI의 응용 가능성

'엑사원 딥'은 수학, 과학, 코딩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물리학, 화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기업의 전문 분야뿐만 아니라, 과학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높습니다. 또한, 온디바이스 모델은 스마트폰, 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확산이 예상됩니다.

 

4. LG의 향후 계획

LG AI연구원은 LG전자, LG유플러스 등 계열사들과 함께 엑사원 딥을 고도화하여 온디바이스 AI 시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AI와 같은 첨단 기술이 일상 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 LG 유플러스 AI사업에 사활 https://www.fnnews.com/news/202503181723107810

 

수능 수리영역 94.5점 vs 딥시크 89.9점

 

5. 결론

LG AI연구원의 엑사원 딥 오픈소스 공개는 한국 AI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며, AI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예고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추론 AI의 발전은 다양한 산업과 연구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국내의 다른 기업들에게도 큰 자극제가 되어 속속 결과물을 낼 것이다.